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만 나이 알기와 만 나이 계산하는 방법

by ^^kth6266%&### 2023. 6. 5.
반응형

2023년 6월 28일부터 '만 나이 통일법'이 시행된다.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주로 사용하는 나이는 '세는 나이'가다. 즉, 태어났을 때부터 1살이 되고 12월 31일이 지나 다음 해 1월 1일이 되면 1살을 더 먹는 방식이다. 극단적인 예로 12월 31일에 태어난 아이는 이틀 후에는 2살이 된다. 만 나이는 출생일은 기준으로 1년이 지났을 때 한 살이 되는 것으로 현재 거의 모든 나라에서 사용하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나이 계산법이다.

만나이-바로알기-계산방법-썸네일
만나이 바로알기 계산방법

 

 

1. 만 나이 제대로 알아보기

현재 우리나라에는 주로 사용하는 '세는 나이', '만 나이'가 두 가지가 있다. 일상생활에서는 세는나이를 주로 사용하고 법조문이나 계약서상에는 만 나이를 주로 사용하다 보니 불편한 점과 헷갈리는 점이 한두 가지가 아니었다. 실제로 여론조사결과도 응답자의 81.6% 이상이 만 나이 사용을 찬성하고 있다. 찬성 이유로는 다양한 나이 계산법으로 인한 혼란, 불편이 없어지는 것, 기존 한국식 나이 계산법으로 인한 서열문화 타파를 기대하고, 국제적 기준과 통일이 되며, 그리고 체감나이가 하양 되는 즉 젊어진다고 할까? 이런 효과가 있을 수 있겠다.

 

우리나라는 1962년 이후 민법상 만 나이를 공식 채택하고 있지만, 행정 업무상 사실상 연나이를 적용하는 경우가 많다. 하지만 이후에는 별도의 규정이 명시되지 않으면 '만 나이'를 기준으로 생각하면 된다.

 

만 나이의 나이 계산법은 올해 생일이 지난 경우에는 현재 현도 2023에서 출생 연도를 빼면 만 나이가 나오고, 올해 생일이 지나지 않는 경우라면 현재연도에서 출생 연도를 뺀 후 1을 한 번 더 빼주면 만 나이가 나온다. 만약 신생아가 아직 1년이 지나지 않은 경우에는 0살이 아니라 '몇 개월' 이런 식으로 개월수가 나이를 대신한다. 

 

 

 

2. 만 나이로 달라지는 점

많은 부분이 변화하는 것 같아 보이지만 실제로는 우리나라는 예전부터 공식적으로는 만 나이를 많이 사용해 왔다. 초등학교 입학 시기, 국민연금 수령나이, 정년, 교통비 지원 연령 등은 이미 만 나이로 적용되어 왔다. 그래서 만 나이 통일 조치는 종전과 다르게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만 나이를 적용해 오던 것을 재확인하는 조치에 가깝다. 하지만 우리는 최대 2살까지 숫자상의 나이가 어려지는 결과가 나타나서 젊어지는 효과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해본다. 그리고 국제적으로는 나이는 거의 만 나이이기 때문에 우리가 사용하는 연나이는 소위 '한국 나이'였으니 이제 저 먼 과거로 보내줘야 할 것이다.

 

한국에서만 있던 빠른 생일자는 이제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. 그리고 초등학교 입학 시 작년 3월~12월 출생자와 올해 1,2월생이 같이 입학하면서 생기는 나이가 다른데 같은 학년에 다니는데에서 오는 '동갑'의 개념이 혼란스러워지는 것도 없어질 듯하다.

 

 

3. 만 나이를 적용하지 않는 곳

현재까지 연 나이를 따르는 규정 법령도 62개나 있다. 예를 들면 '청소년 보호법, 과 '병역법 관련', 시험 응시 나이와 교육 관련은 아직까지 연 나이를 따른다.  병역법 제2조 2항에 따르면 병역의무 이행시기와 관련해 " 00세부터"란 그 연령이 되는 해의 1월 1일부터를, "00세까지"란 그 연령이 되는 해의 12월 31일까지를 말한다'하고 설명하고 있다. 하지만 이도 차후에 여론수렴과 의견을 들어본 후 점차적으로 만 나이로 바뀔 것이 분명하다.

반응형

댓글